세금 3.3% 계산기 아직도 몰라요? 프리랜서·알바는 반드시 봐야 할 부가세·네이버 계산기·3.3% 세금 어플 총정리!

“프리랜서나 알바 하면 세금 3.3% 떼잖아요. 그거면 끝 아닌가요?”
저도 예전엔 그렇게 생각했어요. 그런데 아니더라고요.
진짜 중요한 건 3.3%를 떼는 것 자체가 '끝'이 아니라 '시작'이라는 거예요.

 

프리랜서, 알바 세금 3.3 계산기

세금 3.3%, 이게 뭔가요?

프리랜서나 아르바이트 할 때 보통 “세금 3.3%는 원천징수 돼요” 이런 말 들으셨을 거예요.
이 3.3%는 소득세 3% + 지방소득세 0.3%로 구성되어 있어요.

문제는 뭐냐면,
직장인은 월급 받을 때 세금 다 정산되지만,
프리랜서나 알바생은 매년 5월에 ‘종합소득세 신고’를 다시 해야 한다는 거죠.

 

📌 이런 분들 주목해주세요

  • 프리랜서로 일하고 있어요
  • 유튜브, 배달, 디자인, 과외 같은 부수입이 있어요
  • 아르바이트인데 세금 3.3% 뗀다고 들었어요
  • 종합소득세 환급 받을 수 있는지 궁금해요
  • 내가 낸 세금이 너무 많은 거 같은데 확인하고 싶어요

 

이 중 하나라도 해당된다면 세금 3.3% 계산기를 반드시 써보셔야 해요.
정확한 금액을 아는 것만으로도 환급 가능성을 높일 수 있거든요.

 

📱 3.3% 세금 어플, 어떤 게 좋아요?

직접 홈택스 들어가서 계산해도 되지만,
세금 계산기 어플을 활용하면 더 쉬워요.

대표적인 앱은 아래와 같아요:

  • 삼쩜삼 (모바일 앱)
  • 프리랜서택스
  • 토스 세무 기능

이 앱들은 내가 낸 세금, 앞으로 낼 세금, 환급 받을 수 있는 금액까지
자동으로 계산해 주니까 정말 편해요.
저도 작년에 이걸로 환급금 38만 원 받았어요.

 

꼭 알아두세요: 부가세 계산기는 또 다른 세금이에요

헷갈리기 쉬운 게 부가세 계산기에요.
이건 개인사업자나 프리랜서 중에 간이/일반사업자로 등록된 분들이 주로 사용해요.

프리랜서라고 다 부가세 대상은 아니지만,
사업자등록을 하면 10% 부가세 신고도 해야 하니까 꼭 챙겨야 해요.

요약:
3.3%는 소득세 관련
부가세는 소비세 관련
이렇게 개념을 나누면 이해하기 쉬워요.

 

그럼 3.3% 떼고 나면 무조건 환급되나요?

많은 분들이 여기서 헷갈려요.
“나는 3.3% 떼고 일했으니까 환급 받겠지?”라는 생각,
반은 맞고 반은 틀려요.

왜냐면 소득 금액과 공제 조건에 따라 환급 또는 추가납부가 갈리기 때문이에요.

예를 들어,

  • 연간 소득이 적고 경비처리나 공제가 많으면 → 환급 가능
  • 고소득자이거나 소득 신고 안 했으면 → 추가 납부 가능성

그러니까 단순히 3.3% 뗐다고 해서 안심하시면 안 돼요.

 

마무리 팁

3.3% 세금 계산은 단순해 보여도, 결코 가볍게 볼 수 있는 주제가 아니에요.
특히 프리랜서나 알바처럼 고정된 급여체계가 없는 분들은
더더욱 스스로 챙겨야 합니다.

📌 꼭 기억하세요:

  • 3.3%는 ‘원천징수’일 뿐, 정산은 5월에
  • 계산기는 무조건 미리미리 써보기
  • 세금 어플은 부담 없이 시작하기 좋음
  • 부가세 계산은 사업자용이니까 헷갈리지 말기

저처럼 뒤늦게 알고 허둥대지 마시고요,
지금부터라도 천천히 준비해 보세요.
나중에 수십만 원 환급 받을 수도 있답니다. 

 

📝 다음 글에서는 실제 종합소득세 신고하는 방법과 꿀팁도 알려드릴게요.
도움이 되셨다면 공감이나 댓글, 소통으로 함께 해요!